
지난 글 BCAA·EAA 섭취법 가이드 – 근육 회복 타이밍 바로가기에서 EAA(필수아미노산)를 중심으로 근육 합성과 단백질 동화 루틴을 다뤘습니다.
이번 글은 그 다음 단계입니다. EAA로 근육 합성의 기반을 다졌다면, 이제 ‘마그네슘’으로 회복을 완성해야 합니다. 피로 누적을 최소화하고 회복 속도를 높이는 근육 회복 루틴의 핵심 포인트를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
📘 목차
- EAA 이후 단계: 왜 마그네슘인가?
- 운동 후 마그네슘 부족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 마그네슘 중심 근육 회복 루틴 구성법
- 결론: EAA 다음은 마그네슘으로 완성하라
1️⃣ EAA 이후 단계: 왜 마그네슘인가?
EAA를 통해 단백질 합성 과정이 시작되면, 그 다음엔 에너지 회복이 필요합니다. 운동 후 우리 몸은 ATP(에너지 효소) 재생에 몰입하게 되는데, 이때 마그네슘이 조효소로 필수적으로 작용합니다.
EAA가 근육의 ‘건축 자재’라면, 마그네슘은 그 건물을 세우는 ‘현장 감독’입니다.
마그네슘은 근육세포의 에너지 대사, 신경 전달, 이완 작용을 모두 담당합니다. EAA만 섭취하고 마그네슘을 보충하지 않으면, 단백질 합성은 이루어져도 피로물질(젖산) 배출과 근육 회복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특히 고강도 트레이닝이나 장시간 러닝 후에는 마그네슘이 빠르게 소모되므로, EAA 다음 단계로 마그네슘 루틴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진정한 회복이 완성됩니다.
2️⃣ 운동 후 마그네슘 부족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마그네슘 결핍은 피로 누적, 근육 경련, 수면 질 저하로 이어집니다. 운동 직후 근육이 뭉치거나 다리가 당기는 느낌이 온다면, 단백질 부족보다 마그네슘 소모 신호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그네슘은 신경과 근육 간의 전기 신호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부족할 경우 칼슘이 과도하게 작용해 근육이 긴장 상태로 유지됩니다. 이 때문에 회복이 더딘 느낌, 수면 중 근육 경련, 낮 동안 지속되는 피로감이 나타납니다.
또한 마그네슘은 수면 중 성장호르몬 분비 리듬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즉, 취침 전 마그네슘 보충은 단순 피로회복이 아니라‘회복 효율’을 높이는 핵심 포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마그네슘 중심 근육 회복 루틴 구성법
EAA 섭취 루틴을 유지하되, 마지막에 마그네슘 보충으로 루틴을 완성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 시점 | 섭취 포인트 | 주요 효과 |
|---|---|---|
| 운동 30분 전 | EAA | 근육 합성 준비, 피로 방지 |
| 운동 직후 | EAA | 근손실 방지, 단백질 동화 촉진 |
| 운동 후 30~60분 | 마그네슘 | 젖산 제거, 근육 이완, 피로 완화 |
| 취침 전 | 마그네슘 | 수면 질 향상, 성장호르몬 분비 촉진 |
- 추천 형태: 글리시네이트 / 말레이트 (흡수율 높고 위 부담 적음)
- 음식 보충: 시금치, 아몬드, 연어, 카카오닙스, 바나나 (고단백 식단 속 미네랄 밸런스 유지에 탁월함)
- 흡수율 팁: 비타민 B6, D와 함께 섭취 (수분 섭취량을 함께 늘리면 마그네슘 대사 효율이 향상됨)
✅ 결론: EAA 다음은 마그네슘으로 완성하라
EAA로 근육 합성의 토대를 다졌다면, 이제 마그네슘으로 회복의 속도와 질을 완성해야 합니다. 단백질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피로감과 수면 저하는 대부분 마그네슘 결핍에서 비롯됩니다.
“EAA가 운동의 시작이라면, 마그네슘은 회복의 완성이다.”
이후 루틴에서는 EAA와 마그네슘의 시너지를 기반으로 꾸준한 루틴 관리를 통해 피로 없는 성장 루틴을 만들어가세요.
이전 단계가 궁금하다면 BCAA·EAA 섭취법 가이드 보러가기